자전거: 20개의 글
1편에 이어 2편에서는 브랜드별 입문급 로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편을 안보신 분들 있다면 1편부터 정주행 해주시기 바랍니다. 입문급 로드 소개 1편 ( 입문급의 정의 , 로드 특징 ) 1편에서 입문급의 정의로 1.8,9단 구동계 2. 크로몰리, 알루미늄 프레임 이렇게 정의를 했습니다. 구동계는 어떤 걸 입문급으로 하냐를 정해야 하는데 일단 가장 많이 사용되는 Shimano 사를 입문급으로 정하겠습니다. 1. 입문급 구동계 등급 시마노 사의 입문급 구동계는 3가지가 있습니다. 클라리스 < 소라 < 티아그라 영문으로는 claris < sora < Tiagra 이렇게 됩니다. 무슨 차이가 있느냐? 크게는 단수,가격, 무게 차이가 있습니다. 8단 ( x2, x3 ) 9단 ( x2, x3 ) 9,10단 ( ..
저번에 예고했듯이 입문급 로드에 대해서 소개해 볼까 합니다. 로드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폭등하면서, 찾으시는 분들이 참 많은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시리즈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이번 1편에서는 입문급자전거의 정의에 대해서 규정 해보고 2편에서는 본격적으로 어떤 자전거들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전거? 나는 어렸을 때 많이 타서 잘 타는데? 배울 필요 있나? 내가 입문자일까? 하시는 분들 계시죠? 로드 자전거를 한 번이라도 타보시면 그 말이 사라지실 껍니다. 이제껏 본인들이 타셧던 샤랄라한 자전거 타는 것은 잊으시길 바랍니다. 로드 자전거는 피 튀기는 경쟁의 세계입니다. 시속 30~40km로 내달리고, 한번에 100km 내외의 거리를 이동하며 3~400m의 언덕을 오르는 무시무시한 스포츠 입..
로드 자전거를 시작하시는 분들 어떤 용품이 필요할 지 어디서 사야 될지 막막하시리라 판단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로드 홍이 로드 자전거를 탈 때 필요한 필수 장비에 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필요한 장비는 입문자, 중급자, 숙련자로 분류 할 테니 본인의 상황에 맞는 타입을 보시고 용품 구입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모든 장비는 하계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시간대는 낮시간대로 정의합니다. ) 1. 입문자 용품 리스트 입문자는 이제 막 로드 자전거를 구매하셔서 타려고 하시는 문이라고 정의를 하겠습니다. 이제 막 취미를 붙이셨으니 머 다를게 있겠어요? 많이 타보는게 좋겠지요 하루에 10~30km 정도 타시면 많이 타셨다는 느낌이 드실 겁니다. 그럴때 필요한 장비들 이제 소개 하겠습니다. 1. ..
로드 자전거에서 가장 먼저 업글을 한다면 1순위 - 휠 그 중 가장 가성비가 높다는 알루 3대장.. 잘 몰라서 서치 및 조사 알루 3대장 시마노 듀라에이스 C24 펄크럼 레이싱 제로 칼파놀로 샤말 울트라(또는 밀레) 그리고 추가로 쳐 준다는 zipp30 course, 마빅 R-sys, 헤드 아르덴느(3대장 보다 높은) 디티스위트 PR 1400 우선 가격 조사 : 다들 후덜덜하다. 기본 1백초반부터 시작. - 105급 잔차 가격과 비슷. (후덜덜) 신품 중고 시마노 듀라에이스 C24 1,400,000 펄크럼 레이싱 제로 1,200,000~1,400,000 칼파놀로 샤말 울트라 1,370,000~1,600,000 헤드 아르덴느 2백초반 디티스위트 PR 1400 1,314,000 zipp30 course 1백..
뭐 오래된 떡밥이지만, 건전한 토론이 되면 이보다 더 유익한 내용도 없을 듯하여 다시 꺼내 봅니다. 튜블러 입문(?)한 지 1년이 채 안됐지만, 지금까지 클린처/튜브리스만 써오던 입장에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각 타이어별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뭐가 우수하다 ! 라는 얘기를 하려는 게 아닙니다 ^^) 1. 튜블러 a. 장점 - 클린처/튜브리스대비 대체적으로 가벼운 휠셋 무게 - 높은 공기압(일반으로 120psi 이상)에 기반한 빠른 페달링 반응성 (구름저항이 낮다는 걸 의미하는 게 아님) - 클린처/튜브리스대비 보다 나은 열변형 저항성 (열변형 이슈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는 걸 의미) - 펑처 발생 시, 타이어가 즉각적으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위급 상황 시 보다 유연한 대응 가능 b. 단점 - 클린처/튜..
프렌치(french) 700X22C 프랑스식 표기법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표기법 700 = 타이어의 외경 700mm 22C = 타이어의 폭 22mm 인치 (inch) 28"X7/8 주로 산악자전거 표기법 / 인치를 사용하는 국가의 표기법 28 = 타이어의 외부 직경 7/8 타이어의 폭 ETRTO(European tire and rim technical organization) 22-622 유럽 표준 표기법 (유럽 타이어 및 림 기술 기구 약어) 22 = 타이어 폭 22mm 622 = 타이어 내부 직경 622mm 이렇게 다양한 표기법으로 타이어 크기를 구분을 하지만 로드바이크의 대표적인 표기법은 프렌치 표기법! 산악자전거의 대표적인 표기법인 인치(Inch)입니다.
자전거 복장 반팔져지 빕숏 장갑 고글 자전거 신발 헬멧 양말 자전거 공구 미니 공기주입기 타이어 패치 다기능공구 기타 옷 마스크 선크림 반팔티셔츠 2개 반바지 2개 양말 2켤레 속옷 2개 슬리퍼 자전거 전자제품 전조등 - 충전필요 속도계 - 충전필요 고프로 - 충전필요 보조배터리 후미등 - 건전지 스마트워치 보급음식 크램픽스 2개 - 경련방지 에너지젤 2개 - 에너지 충전 물통 보급음식2 프로틴바 2개 파워젤 6개 에너지필 1개 패스트리커버리 2개 아미노바이탈 1개 99라이트바 2개 연양갱 10개 기타 신분증
로드 자전거 타이어 적정 공기압 계산 공식 *700×25C 뒷바퀴: 0.33×2.2x(몸무게+자전거 무게)+43.33 *앞바퀴 공기압은 뒷바퀴 공기압 × 0.9(90%) 튜브 폭에 따른 변화는 공식에서 곱하기 부분은 같고 더하기 숫자만 달라진다. 23C는 10을 더해주고, 28C는 10을 빼준다. 이것은 참고용이고 도로면 상태, 추가 무게(물통, 공구통, 가민, 전/후조등, 블렉박스, 의류, 가방 등)에 따라 +, - 를 해주어야 할 것이다. *계산해 보자 뒷(리어)바퀴: 0.33×2.2×(68+9)+43.33=99.232 (자전거 무게와 몸무게에다가 1kg추가함) 앞(프론트)바퀴: 99.232×0.9=89.309 대략 뒷바퀴 공기압은 100psi 앞바퀴 공기압은 90psi
01 메리다 스컬트라 4000 사양(Specification) 프레임 스컬트라 CF2 색상 블랙/화이트 포크 로드 카본 레이스 브레이크 메리다 로드 프로 체인 KMC X11 크랭크 시마노 105 드레일러(앞/뒤) 시마노 105 D / 시마노 105 SS 스프라켓 시마노 CS-5800-11 11-28 시프터 시마노 105 핸들바 메리다 콤팩트 로드 OS 허브 포뮬러 로드 베어링 림 메리다 콤프 24 페어 타이어 콘티넨털 울트라 스포츠 II 23 폴드 싯포스트 메리다 카본 H SB15 27.2 안장 메리다 스포츠 프로 페달 없음 완성차 무게 8.3kg(페달 제외) 02 메리다 스컬트라 4000 디자인(Design)
1. 메리다 스컬트라 5000 사양 프 레 임 스컬트라 CF2 카본프레임 사 이 즈 XXS(44) - XS(47) - S(50) - SM(52) - ML(54) - L(56) - XL(59) 포 크 로드 카본 레이스 브레이크 시마노 울테그라 체 인 KMC X11 크 랭 크 시마노 울테그라 FC-6750 (50x34T) 드레일러 FRONT 시마노 울테그라 D (FD-6800), REAR 시마노 울테그라 SS (RD-6800) 스프라켓 시마노 CS-5800-11 (11-28T) 쉬 프 터 시마노 울테그라 듀얼 컨트롤 핸 들 바 FSA 고싸머 컴팩트 OS 허 브 시마노 WH-RS11 림 시마노 RS11 타 어 어 컨티넨탈 울트라 스포츠 II 23 폴드 싯포스트 메리다 카본 H SB15 27.2 안 장 메리다 ..